궁금소

지하철 3개 노선 이상 환승역들을 알아보자

후니의 궁금소 2023. 12. 21. 10:40
반응형
3개 노선 환승역
 
종로3가역
1호선 (130) - 1974년 8월 15일 개업
3호선 (329) - 1985년 10월 18일 개업
5호선 (534) - 1996년 12월 30일 개업

 

국내 최초의 3개 노선 환승역 1

 

1-3호선 환승은 이 역에서만 가능하다.

 

탑골공원과 종묘, 낙원상가가 이 역 근방에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2호선 (205) - 1983년 9월 16일 개업
4호선 (422) - 1985년 10월 18일 개업
5호선 (536) - 1996년 12월 30일 개업
 
국내 최초의 3개 노선 환승역 2
 
4-5호선 환승은 이 역에서만 가능하다.
 
2018년 7~9월 사이 4-5호선 간 환승통로 에스컬레이터 공사로 인해 환승이 잠시 불가능했던 적도 있었다.

1983년 '서울운동장역'으로 개업했다가 1984년 완공된 잠실종합운동장과의 혼동 방지를 위해 1985년 10월 '동대문운동장역'으로 바뀌었다.

이후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면서 2009년 12월 역명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바뀌었다.

현재 수도권 전철역 가운데 이름이 가장 긴 역이다.

 

 

고속터미널역
3호선 (339) - 1985년 10월 18일 개업
7호선 (734) - 2000년 8월 1일 개업
9호선 (923) - 2009년 7월 24일 개업
 
3, 7, 9호선은 이 역에서만 만난다.
 
즉, 3-7, 7-9, 9-3호선 간 환승은 이 역에서만 가능하다.
 
9호선 역사의 경우 CAM 공법을 이용해 3호선 역 구조물 15cm밑에 9호선 구조물을 건설했다고 한다.
 
 
 

상봉역
7호선 (720) - 1996년 10월 11일 개업
경의·중앙선 (K120) - 2010년 12월 21일 개업 (중앙선)
경춘선 (K120) - 2010년 12월 21일 개업

 

7호선-경의·중앙선, 7호선-경춘선 환승은 이 역에서만 가능하다.

 

경춘선 선로를 사용하는 ITX-청춘은 2012년 2월 28일부터 운행 중이다.

 

또한, 2017년 12월 22일부터는 강릉선 KTX 열차도 일부 정차한다.

(주중 하행 9회/상행 10회, 주말 하행 11회/상행 14회)

 

디지털미디어시티역
6호선 (618) - 2000년 12월 15일 개업
경의·중앙선 (K316) - 2009년 7월 1일 개업 (경의선)
공항철도 (A04) - 2010년 12월 29일 개업
본래 '수색역'으로 개통했으나,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경의선 수색역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역명을 바꾸었다.
 
서울 최초로 역명 전체가 영단어로 구성된 역이라고 한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는 '디엠시'라고 줄이는 편이다.
 
 

홍대입구역

2호선 (239) - 1984년 5월 22일 개업

공항철도 (A03) - 2010년 12월 29일 개업

경의·중앙선 (K314) - 2012년 12월 15일 개업 (경의선)

 

본래 '동교역'으로 개통 예정이었으나, 홍익대의 줄기찬 요구로 개통을 나흘 앞둔 1984년 5월 18일 '홍대입구역'으로 개칭되었다.

 

대학 역명 열풍의 시조격인 셈이다.

 

 

회기역

1호선 (123) - 1980년 4월 1일 개업 (국철)

경의·중앙선 (K118) - 2005년 12월 16일 개업 (중앙선)

경춘선 (K118) - 2016년 9월 26일 개업

 

이름은 회기역이지만 정작 역사는 휘경동에 위치하고 있다.

 

정작 과거 '휘경역'(1974년 개통)이었던 현재의 외대앞역은 휘경동이 아닌 이문동에 위치하고 있다. 

 

휘경역을 선점당해 어쩔 수 없이 회기역을 쓰게 된 것.

 

참고로 경춘선의 경우 일일편수도 적고 배차간격도 길기 때문에 시간을 맞춰 탈 것이 아니라면 가급적 상봉역에서 타는 것이 낫다.

 

 

신설동역
1호선 (126) - 1974년 8월 15일 개업
2호선 (211-4) - 1980년 10월 31일 개업
우이신설선 (S122) - 2017년 9월 2일 개업

 

서울 지하철 최초의 환승역이며, 수도권 전철 최초의 타 노선 간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최초의 환승역은 당시 국철 경의선-경부선 환승역인 구로역이다.)

 

2호선의 경우 을지로순환선(본선)이 아닌 성수지선의 종점역이다.

 

 


초지역

1호선 - 1994년 1월 10일 개업 (국철) 2003년 4월 30일 운행종료

4호선 (452) - 1994년 4월 1일 개업

서해선 (S26) - 2018년 6월 16일 개업

수인·분당선 (K254) - 2020년 9월 12일 개업


최초의 비서울 3개 노선 환승역이자 2023년 4월 시점에서 비서울 지역 유일의 3개 노선 환승역이다.

 

4호선과 수인·분당선은 같은 선로와 승강장을 공유한다.

 

수인선 협궤열차 시절에는 존재하지 않던 역이었으며, 1994년 개업 당시부터 2012년 6월까지는 '공단역'이었다.

 

반월공단과의 거리가 4.6km에 달해 역명 변경 요구가 많았고, 결국 소재동의 이름을 따 '초지역'으로 바꾸었다.

 

1994년 1월 개업 당시에는 1호선(국철) 열차만 다니다가 그해 4월 1일부터 4호선 열차가 다니기 시작했으며, 2003년 4월 30일을 끝으로 안산선의 1호선 운행이 중단되면서 1호선은 다니지 않게 되었다.

 

현재 신안산선(2025년 개통 예정)이 공사 중이라 향후 4개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또한 같은 해에 개통될 예정인 인천발 KTX도 이 역에 정차할 예정이다.

 

신안산선의 경우 서해선과 선로 및 승강장을 공유할 예정이며, 인천발 KTX는 4호선, 수인·분당선과 선로 및 승강장을 공유할 예정이다.

 

 

4개 노선 환승역

 

서울역

1호선 (133) - 1974년 8월 15일 개업

4호선 (426) - 1985년 10월 18일 개업

경의·중앙선 (P313) - 2009년 7월 1일 개업 (경의선)

공항철도 (A01) - 2010년 12월 29일 개업

 

국내 최초 4개 노선 환승역.

 

서울의 중심이 되는 역이라 규모가 크다보니 막장환승이다.

 

1-4호선 환승은 괜찮으나,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환승이 막장이다.

 

특히 나머지 노선과 경의·중앙선 환승은 환승통로가 없어 역사 밖으로 나와서 다시 태그를 해야 하는 간접환승을 채택하고 있다.

 

경의·중앙선의 경우 배차간격이 1시간으로 매우 넓으므로 주의할 것.

 

현재 지하철 외에도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이 운행하고 있다.

 

2024년에는 GTX-A가 개통되어 5개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며, 이후로도 GTX-B(2030년 개통 예정) 역시 이 역에 정차할 계획이다.

 

신안산선 역시 서울역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렇게 되면 7개 노선 환승역이 될 것이다.

 

 

왕십리역

1호선-국철 (K126) - 1978년 12월 9일 개업 2005년 12월 15일 운행종료

2호선 (208) - 1983년 9월 16일 개업

5호선 (540) - 1995년 11월 15일 개업

경의·중앙선 (K116) - 2005년 12월 16일 개업 (중앙선)

수인·분당선 (K210) - 2012년 10월 6일 개업 (분당선)

 

국내 최초의 지상-지하 환승역.

 

이름은 왕십리역이지만 실제로는 행당동에 있다.

 

본래 국철(1호선)의 지선 소속 역으로 개업했으나 국철 열차는 2005년 12월 15일을 끝으로 운행을 종료했고, 다음날 개통한 중앙선으로 편입되었다.

 

2026년 동북선이 개통되면 5개 노선 환승역이 되며, 향후 GTX-C까지 연결되면 6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수인·분당선의 경우 왕십리역이 사실상의 종점이다.

(왜 그런지는 후술)

 

참고로 왕십리의 리는 '마을'이 아니라 거리 단위 '리'다.

 

무학대사가 이곳을 조선의 도읍으로 하려다가 이곳의 노인이 북서쪽으로 10리 더 가면 도읍으로 쓸 터가 있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갈 왕(往) + 열 십(十) + 거리 단위 리(里)]

 

실제로 경복궁은 왕십리에서 북서쪽으로 10리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공덕역

5호선 (529) - 1996년 12월 30일 개업

6호선 (626) - 2000년 12월 15일 개업

공항철도 (A02) - 2011년 11월 30일 개업

경의·중앙선 (K312) - 2012년 12월 15일 개업 (경의선)

 

4개 노선 환승역이지만 환승 난도는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청량리역

1호선 (124) - 1974년 8월 15일 개업

경의·중앙선 (K117) - 2005년 12월 16일 개업 (중앙선)

경춘선 (K117) - 2016년 9월 26일 개업

수인·분당선 (K209) - 2018년 12월 31일 개업 (분당선)


1호선 지하 청량리역과 경의·중앙선 지상 청량리역은 오랫동안 별도의 역으로 취급되어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았다.

 

2010년 8월 20일에야 민자역사 건설과 함께 환승통로가 뚫리면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이 역은 4개 노선 환승역이기는 한데, 경춘선과 수인·분당선 등 2개 노선은 배차간격이 1~2시간에 이를 정도로 매우 길고 일일편수도 매우 적기 때문에 이 노선들을 타야 한다면 가급적 다른 역에서 타는 것이 나을 것이다.

 

사실상 2개 노선 환승역이나 다름없는 셈.

 

서울에서도 중요한 역이다 보니 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A-train) 등 일반열차도 많이 정차한다.

 

참고로 청량리의 경우에는 과거 행정구역명이 '청량리'였으나, '청량동'이 아닌 '청량리동'이 되었다.

 

 

김포공항역

5호선 (512) - 1996년 3월 20일 개업

공항철도 (A05) - 2007년 3월 23일 개업

9호선 (902) - 2009년 7월 24일 개업

김포 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 (G109) - 2019년 9월 28일 개업

서해선 (S13) - 2023년 6월 24일 개업 예정

 

익히 알려져 있듯 김포공항은 경기도 김포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 방화동, 인천광역시 계양구 상야동,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대장동에 걸쳐 있다.

 

공항 설치 당시에는 경기도 김포군에 있다가 1963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면서 이렇게 된 것.

 

김포공항역 역사 가운데 5, 9호선, 공항철도 역사는 방화동에, 김포 도시철도 역사는 공항동에 위치하고 있다.

 

올해 6월 24일 서해선이 개통할 예정인데, 이렇게 되면 국내 최초 5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참고로 5개 노선 모두 운영사가 다르다는 진기록도 갖고 있다.

 

5호선 - 서울교통공사

9호선 - 서울시메트로9호선

공항철도 - 공항철도주식회사

김포 도시철도 - 김포골드라인운영

서해선 - 한국철도공사

 

 

향후 3개 노선 이상 환승역

(현재 공사 중인 노선만 포함)

 

수서역 - 3호선, 수인·분당선 + GTX-A

여의도역 - 5호선, 9호선 + 신안산선

연신내역 - 3호선, 6호선 + GTX-A

중앙역 - 4호선, 수인·분당선 + 신안산선

 

 

향후 4개 노선 이상 환승역

(현재 공사 중인 노선만 포함)

 

대곡역 - 3호선, 경의·중앙선 + 서해선 + GTX-A

초지역 - 4호선, 서해선, 수인·분당선 + 신안산선

사상역 - 부산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 부전-마산 광역철도 + 부산5호선

 

 

향후 5개 노선 이상 환승역

(현재 공사 중인 노선만 포함)

 

김포공항역 - 5호선, 9호선, 공항철도, 김포 도시철도 + 서해선

서울역 -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GTX-A

왕십리역 - 2호선, 5호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 동북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