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양승숙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73년 ~ 2004년 (31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우리나라 국군 최초의 여성장군으로 1973년 간호후보29기로 입대하면서 군생활을 시작했다고 알려졌음. 1992년 첫 대령진급 심사에서 탈락했지만 다음해에 대령으로 진급함.
대령 시절 국군간호사관학교장을 맡았고 이 시기에 당시 간호사관학교가 폐교될뻔한 위기를 간신히 막아냈음. 이후 2001년 시대적으로 이제 여군도 장군을 달아야 한다는 여론으로 창군 이래 첫 여성 장군으로 진급했음.
사실 첫 여성 장군에 대한 논의는 김영삼 정부 시기부터 있었음. 이 당시 여군의 사실상 최종계급은 대령으로 간호사관학교장, 여군병과장 둘 중 한 보직이 논의되었지만 당시 장군진급 조건을 갖춘 여군이 없어서 흐지부지됨.
그리고 김대중 정부때 다시 논의가 나왔고 당시 언급되던 이가 여군 최초로 연대장을 지닌 엄옥순 대령, 그리고 육군본부에서 일하던 민경자 대령이 언급됨.
하지만 엄 대령은 건강이 안좋았고 실제로 위암수술 후 전역했고 얼마 뒤 별세했으며 민경자 대령은 연대장 경력이 없어서 장군으로 진급되지 못했음.
이런 이유로 양승숙 대령이 2001년 첫 여성 장군이 되었고 이후 사실상 간호장교의 최고위직인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은 대령에서 준장으로 계급을 한단계 상승시키는걸로 확정됨. 양 장군은 2004년 전역했고 이후 여러 사회활동을 하면서 살고 계심
2. 이재순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75년 ~ 2006년 (31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우리나라 2번째 여성 장군으로 1975년 간호사관학교16기로 임관 후 2006년 준장으로 전역할때까지 31년간 군생활을 했음. 1985년 소령, 1990년 중령, 1996년에 대령으로 진급했고 이 시기에 영남대학교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음.
2003년 양승숙 준장 다음으로 여성 장군이 되었고 3년간 장군 임기를 끝내고 2006년 전역했으며 이후 한국폴리텍대학 학장을 지니기도 했다고 알려졌음.
3. 윤종필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76년 ~ 2008년 (32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우리나라 국군 역사상 3번째 여성장군이자 최초의 여성장군 출신 정치인(전 국회의원)임. 1976년 간호사관17기로 임관함.
이후 국군대구병원 간호부장, 국군의무사령부 관리실장등의 보직을 거친 뒤 2006년 준장으로 진급해 장군이 되었음. 2년간 임기를 끝낸뒤 2008년 전역했고 8년뒤 국회의원이 되심
4. 박순화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78년 ~ 2009년(31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우리나라 국군 역사상 4번째 여성장군으로 1978년 간호사관19기로 임관했음. 장교 시절 국간사 교무부장, 교수부장, 국군수도병원 간호부장을 거친 뒤 2007년 장군으로 진급했음. 2009년 전역했음.
5. 신혜경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79년 ~ 2011년 (32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우리나라 5번째 여성 장군으로 국간사20기로 1979년 임관함. 장교 시절 국군강릉병원, 국군서울지구병원, 국간사 생도대장, 국방부 건강증진담당관, 육군본부 건강증진과장을 거침.
2009년 국군간호사관학교장이 되면서 준장으로 진급했고 2년 임기 끝에 2011년 전역했음. 가톨릭 신자로써 국내 첫 여성 장성급 장교라고 함.
6. 송명순 준장 (준장, 국방부 해외정보차장)
복무기간 : 1981년 ~ 2012년 (31년)
최종직급 : 국방부 해외정보차장(준장)
육군 전투병과 최초의 여성장군으로 1981년 여군사관 29기로 임관함. 현재 여군장교가 되려면 학사장교, 육군사관학교 두가지 길이 있지만 당시에 여성장교가 되려면 여군사관학교만을 가는 방법밖에 없었음.
인터뷰에서 장교가 될 당시 집안의 반대가 심했지만 입대했고 1990년 여군병과(지금과 달리 여군은 오로지 여군병과에서만 근무)가 폐지되며 보병으로 병과를 바꿈.
주로 정보, 민사작전에서 근무했고 대위 시절 특전사 여군대대장을 지닌적이 있음. 대령 시절 육군훈련소 30교육연대장을 역임했고 이후 여러 보직을 거치다가 2010년 임기제 준장으로 진급해서 첫 여성 전투병과 장군이 됨.
과거 인터뷰를 보면 함께 임관한 여군사관 29기들중 가장 늦게 전역했다고 함. 이후 국방부 해외정보단장으로 근무하다가 2012년 연말에 전역했고 이후 대구가톨릭대 교수를 역임하는등 학계에서 종사하시는듯
7. 이은수 준장 (준장, 국군 고등법원장)
복무기간 : 1991년 ~ 2014년 (23년)
최종직급 : 국군 고등법원장(준장)
국군 여군 7번째 여성장군이자 여성 법무장교(군법무관) 첫 장군으로 최초의 여성 법무사관이라고 알려짐. 대학 4학년때 사시, 군법무관 1차에 합격했지만 2차에서 떨어지고 더이상 고시공부를 할 수 없어서 직장생활을 하다가 군법무관이 되었다고 함.
2011년 여성 법무장교들중 최초로 장군(준장)으로 진급되었고 3년뒤 국군 고등법원장을 끝으로 전역했으며 법무법인 바른에서 변호사로 근무힌고 있음.
8. 박명화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80년 ~ 2013년(33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국군 8번째 여성 장군으로 1980년 국간사21기로 임관함. 이후 국군대전병원 간호부장, 국방부 건강증진담당관, 국간사 생도대장, 육군본부 건강증진과장을 거처 2011년 간호사관학교장(준장)으로 진급했음.
2013년 전역한것으로 파악됨.
9. 최경혜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81년 ~ 2015년 (34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국군 9번째 여성장군으로 국간사22기로 1981년 임관했음. 국군수도병원 간호부장, 국방부 건강증진담당관, 육군본부 간호병과장, 국군의무사령부 의료관리처장등을 지닌 이력이 있음.
2014년 1월 국군간호사관학교장(준장)으로 진급해서 장군이 되었고 다음해 연말에 전역할때까지 간호사관학교장을 지님.
10. 김귀옥 준장 (준장, 제2작사 관리처장)
복무기간 : 1983년 ~ 2016년(33년)
최종직급 : 제2작전사령부 관리처장
국군 10번째 여성장군이자 전투병과 2번째 여성장군으로 알려짐. 1933년 여군사관31기로 임관했고 이후 제1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장, 육군훈련소 제2신병교육연대장, 국방부 국방여성정책과장을 역임했고 2014년 10월 임기제 진급으로 준장자리에 오르게 됨.
제2작전사령부 관리처장으로 임명되었으며 2년간의 임기를 끝내고 2016년 전역했음. 남편 역시 장교 출신이자 예비역 소장으로 전역한것으로 알려짐.
11. 윤원숙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83년 ~ 2017년 (34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국군 11번째 여성장군으로 1983년 간호사관23기로 임관함. 간호사관학교 평가관리실장, 국군의무사령부 의료관리실 장교, 국군 양주병원 간호부장을 역임함.
2015년 12월 국군간호사관학교장으로 임명되며 국군 여성장교 11번째 여성장군이 됨. 2017년 12월 후임자 권명옥 장군에게 이임 후 전역하심.
12. 권명옥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87년 ~ 2020년 (33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1983년 간호사관27기로 임관했으며 2017년 간호사관학교장이 되며 12번째 여성장군으로 진급했음. 전임자 윤원숙 장군과 기수차이가 4기수 차이 나는데 간호장교들이 진급 적체가 심해서 이와 같은 판단이 된것으로 추정됨.
13. 허수연 준장 (준장, 국군 전투준비단장)
복무기간 : 1988년 ~ 2019년 (31년)
최종직급 : 육군 전투준비단장
국군 14번째 여성장군이자 전투병과 4번째 여성장군, 1988년 여군사관33기로 임관했고 장교 시절 지휘관 및 참모로 근무함. 중령 시절에 제1사단 신병교육대대장을 역임한 이력이 있음.
2017년 임기제 진급으로 장군(준장)이 되었고 육군 전투준비단장으로 2년간 근무하다가 2019년 전역한것으로 알려짐.
14. 강선영 소장 (소장, 항공작전사령관)
복무기간 : 1990년 ~ 2021년(31년)
최종직급 : 육군 항공작전사령관(병과장)
국군 13번째 여성장군이자 전투병과 5번째 여성장군으로 국군 최초의 여군 소장이며 최초로 정상진급을 통해 장군이 된 첫 사례임. 1990년 여군사관 35기로 임관해서 군인이 되었음.
여군 최초 정조종사, 여군 최초 항공대대장, 여군 최초의 항공단장등의 이력을 지냈고 대령 시절 합동참모본부 방위기획과장과 제11항공단장을 역임함.
2017년 준장으로 진급해서 항공학교장이 되었고 2년뒤 소장으로 진급해 항공작전사령관이 되었음. 그리고 2021년 전역함. 전역 후 학계로 돌아가 숙명여대 교수로써 활동중임.
15. 박미애 준장 (준장. 정훈병과장)
복무기간 : 1988년 ~ 2020년(32년)
최종직급 : 육군 정훈병과장(준장)
국군 15번째 여성장군으로 1988년 정훈장교3기로 임관해서 군인이 됨. 임관 후 육군본부 공보과 총괄장교, 제5군단 공훈참모, 여군 첫 한미작전사령부 공보실장 등을 역임함
2018년 11월 준장으로 진급해서 여군 최초로 정훈병과장 자리에 올라갔음. 2년뒤 계급정년으로 전역함.
16. 노경희 준장 (준장, 제2군단 부군단장)
복무기간 : 1991년 ~ 현재(32년째)
현재직급 : 제2군단 부군단장
국군 16번째 여성장군이자 현 제2군단 부군단장으로 1991년 여군사관 36기로 임관함. 중령시절 제9사단 신병교육대대장과 제2작전사령부 교훈훈련처 소속을 지님.
대령 시절 여군 최초로 보병 연대장을 거처 75보병사단 참모장을 역임함. 2018년 11월 준장으로 진급했고 제3사단 부사단장과 제2작전사령부 교훈훈련처장, 육군훈련소 참모장을 지닌뒤 현재 제2군단 부군단장을 역임중임.
준장의 계급정년이 6년(진급 후 6년안에 소장으로 진급되지 않으면 전역)이기 때문에 내년 연말에 전역할것으로 추정됨.
17. 김주희 준장 (준장, 국군정보사령부 정보단장)
복무기간 : 1990년 ~ 2021년(31년)
최종직급 : 국군정보사령부 정보단장
국군 17번째 여성장군이자 정보병과 첫 여성장군으로 알려짐. 1990년 여군사관35기로 임관했으며 수도방위사령부 정보처장, 한미연합사령부 정보계획처장, 국방정보본부 정보기획과장, 국군 심리전단장 등을 거침.
2019년 준장으로 진급했고 2년 뒤인 2021년 31년의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했음.
18. 정의숙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88년 ~ 2021년 (33년)
최종직급 : 간호사관학교장 (간호병과장)
국군 18번째 여성장군으로 1988년 간호사관28기로 임관함. 장교 시절 육군 본부 의료체계과장, 국군사관학교 교수부장, 의무사령부 의료관리처장, 육군 간호병과장을 역임함.
2019년 11월 국군간호사관학교장으로 진급해서 준장이 되었고 2년뒤 계급정년으로 전역함.
19. 정정숙 소장 (소장, 육군부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91년 ~ 현재(32년째)
현재직급 : 육군부사관학교장(소장)
국군 19번째 여성 장군이자 현재 국군 여군 유일한 소장으로 1991년 여군사관36기로 임관했고 대령 시절 육군훈련소 27신병교육연대장, 수도군단 인사참모장, 국방부 여성정책과장을 역임함.
2019년 11월 준장으로 임기제 진급되었고 육군훈련소 전투준비단장을 역임한 뒤 2년뒤인 2021년 소장으로 임기제 진급해서 육군부사관학교장이 되었음.
임기제 진급이기 때문에 빠르면 올해 연말, 내년 초에 전역할것으로 추정됨.
20. 강점숙 준장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89년 ~ 2023년(예정)
최종직급 : 국군 간호사관학교장(간호병과장)
국군 20번째 여성장군이자 현 간호사관학교장이기도 함. 간호사관29기로 1989년 임관했으며 소령 시절 이라크 자이툰 부대에 파병을 다녀온적이 있다고 함.
대령 시절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 의무사령부 등에서 근무했고 2021년 하반기에 준장으로 진급해서 국군간호사관학교장이 됨. 올해 연말 계급정년으로 전역예정임.
21. 강영미 준장 (준장. 제5공병여단장)
복무기간 : 1994년 ~ 현재 (29년째)
현재직급 : 제5공병여단장
국군 21번째 여성 장군이자 공병병과 최초의 여성장군이라는 이력을 가지고 있음. 여군사관39기로 1994년 임관했고 중령시절 제3야전군사령부 환경대대장을 거처 대령시절 제3공병여단 참모장, 육군본부 공병과장, 육군사관학교 근무지원단장을 역임함.
이후 2021년 12월 준장으로 진급해서 현재 제5공병여단장을 역임중임. 공병병과는 진급 상한선이 소장이고 육군본부 공병실장, 국방시설본부장까지 2개 직위가 있음.
22. 김소영 준장 (준장. 병참병과장)
복무기간 : 1992년 ~ 현재(31년째)
현재직급 : 육군군수사령부 보급처장(병참병과장)
국군 22번째 여성 장군으로 병참병과 최초의 여성 장군이라고 알려짐. 1992년 여군사관37기로 임관해서 군인이 되었음. 대령시절 육군 제5군수지원사령부 제52군수지원단장과 육군 본부 보급근무과장을 역임했음.
2022년 11월 5차진급으로 병참병과 최초의 여성장군이 되어 현재 직급은 준장임.
23. 정경화 준장(진) (준장. 간호사관학교장)
복무기간 : 1992년 ~ 현재(31년째)
현재직급 : 국군의무사령부 예방처장(준장 진)
국군 23번째 여성장군 진급자로 현재 직급은 국군의무사령부 예방처장이지만 12월 31일 이후 국군간호사관학교장으로 취임할 예정임. 김귀옥 준장 이후 2번째 장군부부(남편도 육군 장성)이기도 함.
24. 차종희 준장 (준장. 재정병과장)
복무기간 : 1994년 ~ 현재(29년째)
현재직급 : 육군 예산운영과장(준장 진)
국군 24번째 여성장군이자 재정병과 첫 여성 장군 겸 병과장으로 1994년 여군사관 39기로 임관해 군인이 되었음. 중령시절 육군본부 복지기금정책장교, 5군단 예산과장을 역임했고 대령시절 육군본부 예산운영과장, 수방사 재정실장, 2군단 재정참모를 역임함.
2023년 준장으로 진급해 국군 24번째 여성장군이 되었고 12월 정식으로 취임할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현재 국군 여성장군 24명 모두 육군 소속이며 해병대, 공군, 해군은 아직 여성장군이 나오지 않았음. 왜냐면 여군이 상대적으로 육군에 비해 진출한 시간이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임
현재 해병대, 공군, 해군의 최고계급 여군은 다음과 같음
(공군)
1. 박지연 대령 (49기, 숙명여대 학군단장)
2. 박ㅇㅇ 대령 (49기, 보직 미상)
3. ㅇㅇㅇ 대령 (49기, 이름 및 보직 미상)
1997년 입학해서 2001년 임관한 49기가 올해 기준 대령으로 진급했음. 대령진급자들중 3명이 여군인것으로 파악됨. 97년 임관한 45기가 올해 첫 준장 진급자가 나온것으로 봐서 공군 여성장교들중 장군진급자가 나오려면 최소 4년은 더 기다려야 함.
(해병대)
해병대의 경우 2000년대에 들어서야 여군장교들이 탄생했기 때문에 현재 중령이 최고 계급인것으로 추정됨.
(해군)
해군의 경우 여군의 진출을 허용한게 20년을 갓 넘긴지라 아직까지 최고 계급은 중령인것으로 파악됨. 법무병과에서 고민숙 대령이 있긴 있음.
학사 95기, 해사 54기가 이제 대령을 단것으로 추정되는것으로 봐서 여성장군이 나오려면 시간이 오래 걸릴것임.
(육군사관학교 및 여군사관학교)
90년대까지 국군은 여군을 여군사관학교를 통해서만 받았음. 지금처럼 여군이 다양한 병과에 진출한것도 30년을 갓 넘겼고 80년대에만 해도 여군 자체를 여군병과로 통일했다고 함. 마찬가지로 여군이 올라갈수 있는 가장 높은 자리는 대령(여군학교장, 간호사관학교장)이였음.
육군사관학교는 58기(97년 입학, 01년 임관)부터 여군을 받았고 58기 여군들중 강유미 대령이 법무병과 특성상 진급이 빠르기에 동기 여군들중 가장 먼저 대령으로 진급되었음.
내년부터 그 외 58기 기수들중 대령진급자들이 나올것으로 추정되며 이때부터 육사 출신 여군대령이 나올것으로 추정됨.
여군사관학교의 경우 2002년 폐교된 교육기관으로 여군만을 받아 교육하던 기관임. 육사, 해사, 공사에서 여군을 받기 이전 사실상 유일하게 여군이 될수 있던 교육기관이라고 함.
2002년 폐교될때까지 여군 장교 47기수를 임관했음. 현재 간호병과를 제외한 육군 기준 중령 이상 계급 여군들의 경우 전부 여군사관 출신이라고 보면 됨.
현재 중령급의 경우 육사 출신, 여사 출신이 조금씩 겹침. 육사 58기 - 여사 46기와 육사 59기 - 여사 47기 이렇게 겹침. 이후 여군사관이 폐교됨.
반응형
'궁금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일본 대졸자 취업 회사 인기 랭킹 top 100 (1) | 2023.12.11 |
---|---|
김영삼의 하나회 숙청 과정 (0) | 2023.12.10 |
남녀 임금격차 원인 연구 2023년 노벨 경제학상 (1) | 2023.12.08 |
대한민국 중견기업, 대기업의 여성 CEO들 (1) | 2023.12.08 |
멸종으로 여겨지다 90여년만에 발견된 황금두더지 (2) | 2023.12.07 |